-
02 입란, 전란, 검란, 발생
입란 발육기의 1/3씩 입란하는 것이 부화기 내의 온도 유지를 위해 좋다 전란(turning) 부화초기 배자가 난각막에 붙는 것과 부화후기 난황과 요막이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란을 한다. 전란횟수는 1~18일까지 1일 4~6회 정도 하며 전란각도는 180° 이다. → 양계 경영과 사육 (1992) 전란각도는 45° 내외가 좋다. → 소규모 닭기르기 지침서 (2013) 검란(candling egg) 검란요령 부화과정 중 무정란, 발육중지란과 파란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 백색란은 입란후 5~6일, 갈색란은 7일에 1회 검란, 13~14일째 2회 검란, 18일째 3회 검란을 한다. 1회 검란: 입란 후 5~6일(백색란) / 7일(갈색란) 발육란: 혈관이 선명하게 분포되고 있는 것 발육중지란: 혈관이 뭉..
2021.09.24
-
닭의 생리
닭의 생리적인 특성을 알면 산란계 관리가 보인다. 유종철 우리는 흔히 사양관리를 중요하다고 하고, 늘 양축가와 사양관리, 방역관리, 위생관리 등을 이야기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사양관리는 닭의 특성, 즉 생리적인 특성을 모르고 이야기 한다는 것은 장님이 코끼리 다리를 만지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 이번 글에서는 닭의 특징과 필드에서 그 특징을 이용하는 예를 들면서 닭의 고유한 특징을 살펴 보려고 한다. 닭은 야맹증을 가진 주행성으로 야맹증의 원인은 포유 동물과 다르게 동공의 조절 능력이 없어 불빛이 없으면 암흑이다. 필드에서는 이런 특성을 살려 분무 접종이나 출하에 이용한다. 일반적인 수명은 우리는 산란계를 65 주령, 늦어도 환우후 90 주령까지 키우면서 65 주령이 넘으면 노계라고 불리우면서 싼값에 ..
2021.02.20
-
산란계 일반 사양관리
1. 초산기 체중변화와 산란기의 관리 초산계의 영양공급 일반적으로 산란을 하지 않은 닭은 20주령 이후에도 하루에 70~80g의 사료를 섭취하며, 산란에 들어간 닭은 110g 정도의 사료를 섭취한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체별로 산란율의 변화를 보면 산란을 시작한 후 약 2주만에 피크에 도달하게 되며, (계군별이 아님) 계군의 체중과 산란율이 서서히 증가하는 것은 18~28주령에 걸쳐 시산한 닭과 시산하지 않은 닭의 비율이 점차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산란계 사료는 산란이 5%에 도달한 시기를 기준으로 한다. 산란계 사료의 급여시기가 너무 늦어지면 이미 산란을 시작한 초산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추사료에서 산란사료로 교체할 경우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한다. 예) 75:25 → 50:50 → 25:7..
2021.09.27
-
04. 병아리의 암수 감별법
병아리의 암수 감별 방법은 생식돌기에 의한 감별, 기계감별, 반성유전에 의한 감별이 있는데, 생식돌기 감별법(항문감별)은 가장 널리 실용화되었으며 정확하고도 신속하게 감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숙달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항문의 생식돌기의 유무, 발달 정도 및 상태 등을 고려하여 암수를 판별한다. 하루 이상 지난 경우, 돌기가 퇴화되기 때문에 이 방법으로 감별이 어렵다 암컷의 경우 생식돌기가 평평하고 충실치 못하며 다소 연약한 느낌이며 광택도 약하여 추벽(주름)과의 차이가 없다. 또한 윤곽이 분명치 않으며 탄력성이 없어변형 되기 쉬운 형태이고, 돌기의 기부는 거의 제3추벽에 존재하고 반전형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반면 수평아리의 경우 생식돌기가 둥글고 충실하며 광택이 있다. 또한 윤곽도 선명하며 탄력성이 ..
2021.02.20
-
병아리(육계)의 겨울철/환절기 호흡기 발생을 줄이는 방법
1. 병아리 호흡기 증상 발생을 줄이는 방법 가) 육추관리에서의 요인들 (1). 부족한 육추실 습도 병아리 입추시 어린 병아리는 체성분의 수분함량이 많을 뿐 아니라 피부가 얇고 기능도 충분히 발달되지 않아 처음 습도가 부족한 계사에서 육추를 할 경우, 처음 1주간은 부족 수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물을 많이 섭취하게 되므로 심한 설사를 동반하여 탈수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약추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건조한 습도는 계사에 먼지의 증가와 함께 호흡기 점막의ㅏ 손상이 초래되어 호흡기병의 발생률을 높이게 되므로 항상 60% 전후 정도의 습도 관리가 중요하다. 가습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농장은 습도를 70%이상 유지하기가 불가능하다. 계사 바닥에 물을 뿌려주는 방법으로는 4..
2022.10.19
-
종계의 표준능력
원종계의 암수계통의 수수비율은 수탉 30마리에 암탉 100의 비율이 좋고 종계는 수탉 15마리에 암탉 100마리가 적당하다. 원종계 1수당 종계 생산수수는 40~50수, 종계 1수당 실용계 생산수수는 110~120수이다. 종계의 표준능력 다음과 같은 능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육성 기간 중 생존율(0~24주령) → 90% 산란기간 중 생존율(24~68주, 10개월) → 90% 1수당 종란생산갯수(26~68주) → 173개 수정률(입란 대 수정란) → 90% 부화율(수정란 대 발생수수) → 90% 부화율(입란 대 발생수수) → 81% 암탉 1수당 병아리 생산수 → 146수 생체중 26주령: 암 2.6kg, 수 3.5kg 생체중 68주령: 암 3.2kg, 수 4.5kg 김우영. 양계 경영과 사육, 1992..
2021.10.20
-
육계 관리의 요점
육계 관리의 요점 1) 온도관리와 환기 페온 후의 계사내 온도는 외기온에 따라 좌우되지만 차광커튼 혹은 창문개폐 조작에 따라 다소 조정이 된다. 폐온 후에 온도와 환기가 동시에 고려된 관리를 해야 할 것이나 폐온을 고려치 않고 환기만 중요시 하는데서 오는 급격한 온도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환기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좋은 계사에서 나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계사에서 호흡기병이나 대장균증 등이 발생하면 성적이 떨어져 고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원인의 대부분은 계사내 환기불량에서 기인하는 수가 많다. 환기량은 수용밀도(평당 마리수), 일령, 기온, 습도에 따라 결정된다. 닭의 성장상태를 잘 관찰하여 환기량이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환기량을 증가시키는 순서 환..
2021.10.16
-
산란계 온도 관리
산란계 온도 관리 산란계에 알맞은 온도범위는 16~24℃ 산란계에서 고온의 영향이 현저히 나타나는 것은 30℃ 이상에서이며, 30℃ 이상에서 피부온도가 상승하고 호흡수가 많아지며, 음수량이 현저히 증가하고 고온이 계속되면 사료섭취량이 극도로 감소하여 산란율이 저하되고 난중이 감소하며, 난각질도 얇아진다. 1) 환경온도와 산란능력 은 환경온도와 산란율 및 난중과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산란계에 대한 최적온도라고 할 수 있는 20℃에서 산란율과 1일 1수당 산란량이 가장 높음을 볼 수 있으며, 20℃를 정점으로 온도가 상승하거나 저하함에 따라 산란율과 1일1수당 산란량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산란율은 온도가 높을 때보다 낮을 때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평균 난중은 8℃때가 가장 ..
2021.09.26
-
닭의 영양과 사양표준
단백질 반추 가축과는 달리 가금은 체내에서 단백질의 합성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료의 형태로 닭이 필요한 단백질을 반드시 공급해 주어야 한다. 단백질은 체내에 필요량 이상으로 공급될 경우 지방이나 탄수화물로 전환될 수 있으나, 체내에 단백질의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 지방이나 탄수화물로부터 단백질의 전환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구분 종류 필수아미노산 Arginine, Cystine, Hista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Methionine, Phenylalanime, Threonine, Tyrosine, Valine 비필수아미노산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Hydroxyprolie, Proline, Serine 필..
2021.09.23
-
닭 품종의 분류
닭 품종의 분류 종(Class): 종이란 분류학상 가장 큰 단위로서 서로 외모가 어느정도 일치하고 번식이 가능한 상태의 그룹을 말하는데, 소, 말, 닭 등으로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품종(Breeds): 품종이란 같은 종에 속하면서 형태 및 생리적 특징이 비슷하며 이러한 특징들이 유전적으로 자손에게 전달되는 그룹으로서 레그혼종, 코니시종 등과 같이 분류한다. 내종(Variety): 같은 품종내에서 어떤 특징, 즉 깃털의 색깔이나 볏 모양에 의해 구분되는 집단인데 레그혼종을 백색 레그혼과 갈색 레그혼으로 나누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계통(Strain): 품종이나 내종 중에서 특히 특정 능력, 예를 들면 산란율이나 난중, 체중 등이 우수하며 그러한 특정 능력을 유전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혈연관계가 가가운 ..
2021.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