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 '식량위기 대한민국' 중에서... 병아리(육계)의 겨울철/환절기 호흡기 발생을 줄이는 방법 ການລ້ຽງໄກ່(ການສອນຢູ່ທີ່ ບ້ານໄຊຈະເລີນ) 유기농, 유기물 정의 초산 후의 사료 급여 요령 이전다음 02 입란, 전란, 검란, 발생 입란 발육기의 1/3씩 입란하는 것이 부화기 내의 온도 유지를 위해 좋다 전란(turning) 부화초기 배자가 난각막에 붙는 것과 부화후기 난황과 요막이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란을 한다. 전란횟수는 1~18일까지 1일 4~6회 정도 하며 전란각도는 180° 이다. → 양계 경영과 사육 (1992) 전란각도는 45° 내외가 좋다. → 소규모 닭기르기 지침서 (2013) 검란(candling egg) 검란요령 부화과정 중 무정란, 발육중지란과 파란을 제거하기 위하여 실시 백색란은 입란후 5~6일, 갈색란은 7일에 1회 검란, 13~14일째 2회 검란, 18일째 3회 검란을 한다. 1회 검란: 입란 후 5~6일(백색란) / 7일(갈색란) 발육란: 혈관이 선명하게 분포되고 있는 것 발육중지란: 혈관이 뭉.. 2021.09.24 산란계 일반 사양관리 1. 초산기 체중변화와 산란기의 관리 초산계의 영양공급 일반적으로 산란을 하지 않은 닭은 20주령 이후에도 하루에 70~80g의 사료를 섭취하며, 산란에 들어간 닭은 110g 정도의 사료를 섭취한다. 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체별로 산란율의 변화를 보면 산란을 시작한 후 약 2주만에 피크에 도달하게 되며, (계군별이 아님) 계군의 체중과 산란율이 서서히 증가하는 것은 18~28주령에 걸쳐 시산한 닭과 시산하지 않은 닭의 비율이 점차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산란계 사료는 산란이 5%에 도달한 시기를 기준으로 한다. 산란계 사료의 급여시기가 너무 늦어지면 이미 산란을 시작한 초산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추사료에서 산란사료로 교체할 경우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한다. 예) 75:25 → 50:50 → 25:7.. 2021.09.27 닭의 생리 닭의 생리적인 특성을 알면 산란계 관리가 보인다. 유종철 우리는 흔히 사양관리를 중요하다고 하고, 늘 양축가와 사양관리, 방역관리, 위생관리 등을 이야기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사양관리는 닭의 특성, 즉 생리적인 특성을 모르고 이야기 한다는 것은 장님이 코끼리 다리를 만지는 것과 다를 것이 없다. 이번 글에서는 닭의 특징과 필드에서 그 특징을 이용하는 예를 들면서 닭의 고유한 특징을 살펴 보려고 한다. 닭은 야맹증을 가진 주행성으로 야맹증의 원인은 포유 동물과 다르게 동공의 조절 능력이 없어 불빛이 없으면 암흑이다. 필드에서는 이런 특성을 살려 분무 접종이나 출하에 이용한다. 일반적인 수명은 우리는 산란계를 65 주령, 늦어도 환우후 90 주령까지 키우면서 65 주령이 넘으면 노계라고 불리우면서 싼값에 .. 2021.02.20 병아리(육계)의 겨울철/환절기 호흡기 발생을 줄이는 방법 1. 병아리 호흡기 증상 발생을 줄이는 방법 가) 육추관리에서의 요인들 (1). 부족한 육추실 습도 병아리 입추시 어린 병아리는 체성분의 수분함량이 많을 뿐 아니라 피부가 얇고 기능도 충분히 발달되지 않아 처음 습도가 부족한 계사에서 육추를 할 경우, 처음 1주간은 부족 수분을 보충하기 위하여 물을 많이 섭취하게 되므로 심한 설사를 동반하여 탈수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것은 결국 약추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생산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건조한 습도는 계사에 먼지의 증가와 함께 호흡기 점막의ㅏ 손상이 초래되어 호흡기병의 발생률을 높이게 되므로 항상 60% 전후 정도의 습도 관리가 중요하다. 가습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농장은 습도를 70%이상 유지하기가 불가능하다. 계사 바닥에 물을 뿌려주는 방법으로는 4.. 2022.10.19 닭 품종의 분류 닭 품종의 분류 종(Class): 종이란 분류학상 가장 큰 단위로서 서로 외모가 어느정도 일치하고 번식이 가능한 상태의 그룹을 말하는데, 소, 말, 닭 등으로 분류하는 것을 말한다. 품종(Breeds): 품종이란 같은 종에 속하면서 형태 및 생리적 특징이 비슷하며 이러한 특징들이 유전적으로 자손에게 전달되는 그룹으로서 레그혼종, 코니시종 등과 같이 분류한다. 내종(Variety): 같은 품종내에서 어떤 특징, 즉 깃털의 색깔이나 볏 모양에 의해 구분되는 집단인데 레그혼종을 백색 레그혼과 갈색 레그혼으로 나누는 경우가 이에 속한다. 계통(Strain): 품종이나 내종 중에서 특히 특정 능력, 예를 들면 산란율이나 난중, 체중 등이 우수하며 그러한 특정 능력을 유전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혈연관계가 가가운 .. 2021.09.23 산란 종계의 표준 능력 헨데이산란율(Hen day egg production %)은? 헨데이산란율은 계군의 산란능력을 표현하는 기본지표로 사용되는데, 그날의 총산란수를 닭 마리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한 산란율(%)로서 1,000마리 닭이 965개의 알을 낳았을 때 헨데이산란율은 96.5 %이며, 한 주간 낳은 총산란수를 주간 연수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하면 주간평균 헨데이산란율이 됩니다. 헨데이 산란율 = (그날의 총 산란수) / (닭 마리수) X 100 (%) 김우영. 양계 경영과 사육, 1992. 오성출판사 2021.10.20 3주령 이후의 사양관리 3주령 이후의 사양관리 1. 3주령의 샤앙관리 이 시기는 병아리의 체중이 첫모이 때의 약 15배가 되어 제 1 환우기를 맞는다. 또한 모계로부터 받은 이행항체도 없어지기 시작한다. 병아리가 증체됨에 따라 급이기, 급수기 간격을 넓힘과 동시에 환기 및 바닥을 건조하게 유지하도록 노력하며, 콕시듐 같은 질병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적환경 조건은 다음과 같다. 공기: 신선한 공기 (산소 21%, CO2 0.05% 이하, 암모니아가스 20ppm 이하) 온도: 환경온도 (증체량과 사료요구율의 관계로 보아) 15~25℃ 습도: 상대습도 60~70% 환기: 환기량은 외기온이나 닭의 체중에 따라 변한다. 사육밀도: 단위면적당 사육밀도는 사육환경 온도와 반비례 관계. 동절기에는 대략으로 생체중 100kg/평.. 2021.10.16 01 종란 관리 (집란, 보관, 소독, 부화율) 종란과 부화율 1) 난중 난중(egg weight)은 닭의 품종과 산란일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지나치게 무거운 것이나 지나치게 가벼운 알은 부화율이 좋지 않기 때문에 정상난중인 것이 좋다 → 난중은 50~60g 정도가 좋다. 난중과 초생추 무게와의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어 초생추의 무게는 난중무게의 65% 정도이다. (60g의 난중을 가진 계란이 부화하면 39g의 병아리가 나온다) 초생추 무게가 무거운 개체는 출하시 체중이 무거운 경향이 있는데, 초생추 무게가 1g 무거우면 출하체중은 5.5g 더 무겁다. 2) 난각질 3) 난형 난형(shape)은 타원형이면서 기공이 있는 쪽의 구분이 확실한 것이 좋으며, 지나치게 긴 것은 부화작업 중 파손될 우려가 있고, 공과 같이 지나치게 둥근 종란은 기공이 있는 .. 2021.09.24 육계 관리의 요점 육계 관리의 요점 1) 온도관리와 환기 페온 후의 계사내 온도는 외기온에 따라 좌우되지만 차광커튼 혹은 창문개폐 조작에 따라 다소 조정이 된다. 폐온 후에 온도와 환기가 동시에 고려된 관리를 해야 할 것이나 폐온을 고려치 않고 환기만 중요시 하는데서 오는 급격한 온도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환기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좋은 계사에서 나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계사에서 호흡기병이나 대장균증 등이 발생하면 성적이 떨어져 고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원인의 대부분은 계사내 환기불량에서 기인하는 수가 많다. 환기량은 수용밀도(평당 마리수), 일령, 기온, 습도에 따라 결정된다. 닭의 성장상태를 잘 관찰하여 환기량이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환기량을 증가시키는 순서 환.. 2021.10.16 배자 발육단계 https://www.youtube.com/watch?v=PedajVADLGw ● 미수정란 ● 수정란 ● 1일령 ● 2일령 ● 3일령 ● 4일령 ● 5일령, 5 1⁄2일령 ● 6일령, 6 1⁄2일령 ● 7일령 ● 8일령, 8 1⁄2일령 ● 9일령, 91⁄2일령 ● 10일령, 10 1⁄2일령 ● 11일령, 11 1⁄2일령 ● 12일령, 12 1⁄2일령 ● 13일령, 13 1⁄2일령 ● 14일령, 14 1⁄2일령 ● 15일령, 16일령 ● 17일령 ● 18일령 ● 20일령 ● 21일령 귀농,귀촌인을 위한 소규모 닭기르기 지침서. 2013.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021.02.20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