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oultry/07 사료관리

닭의 영양과 사양표준

by Sombuun 2021. 9. 23.

단백질

  • 반추 가축과는 달리 가금은 체내에서 단백질의 합성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사료의 형태로 닭이 필요한 단백질을 반드시 공급해 주어야 한다. 
  • 단백질은 체내에 필요량 이상으로 공급될 경우 지방이나 탄수화물로 전환될 수 있으나, 체내에 단백질의 공급량이 부족할 경우 지방이나 탄수화물로부터 단백질의 전환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닭에 필요한 아미노산의 종류>

구분 종류
필수아미노산 Arginine, Cystine, Hista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Methionine, Phenylalanime, Threonine, Tyrosine, Valine
비필수아미노산 Ala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Hydroxyprolie, Proline, Serine

 

필수 아미노산 중에서 시스틴은 메치오닌으로부터, 티로신은 페닐알라닌으로부터 합성할 수 있으나, 모두 이미 섭취한 아미노산으로부터 합성된다. 

최근에는 필수아미노산 중에서 메치오닌과 라이신은 인공적으로 합성하여 가축사료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 두 아미노산은 식물성 단백질에서 부족되는 아미노산으로 제한아미노산이라고 한다

 

 

필수아미노산과 생산성

 

단백질의 기능

  1. 체세포의 구성과 증식
  2. 유전인자의 구성성분으로 유전에 관여
  3. 효소와 호르몬의 주성분으로 핵단백질, 클로로필의 구성성분
  4. 계배자의 발육
  5. 면역에 관여

 

지방

지방의 기능

  1. 에너지 공급
  2. 지방산의 공급원: 체내합성이 어려운 올레인산과 레놀레인산 및 아라키톤산을 사료지방으로 공급하여야 한다. 
  3. 체내에서 에너지 저장작용
  4. 지용성 비타민인 A, D, E, K를 공급
  5. 체온유지와 보호작용

 

 

탄수화물

장점

  1. 닭에게 만족감을 준다. 
  2. 장의 유동을 돕는다.
  3. 변비를 방지한다. 
  4. 장내 미생물의 활동을 도와준다. 
  5. 조열을 방지한다. 
  6. 지방계가 되는 것을 방지한다. 
  7. 값이 싸다. 

 

단점

  1. 소화율이 낮다. 
  2. 에너지 함량을 저하시킨다. 
  3. 에너지 손실이 많다. 
  4. 다른 영양소의 소화율을 저하시킨다. 
  5. 성장과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6. 체내 수분함량을 증가시킨다. 
  7. 털갈이가 촉진된다. 
  8. 사료의 통과속도를 빨라지게 한다. 

 

 

미네랄

칼슘 (Calcium)

  • 칼슘공급원: 조개껍질, 석회석, 골분, 소석회
  • 기능
    • 혈액의 응고작용에 관여한다. 
    • 심장의 박동을 촉진한다. 
    • 신진대사에 관여한다. 
    • 효소와 호르몬의 분비와 활동에 영향을 준다. 

 

<표> 산란율에 따른 칼슘 요구량

산란율 햇닭 (22~40수) 묵은닭 (40수 이상)
% g g
100 3.3 4.4
90 3.0 4.0
80 2.6 3.5
70 2.3 3.1
60 2.1 2.8

 

 

인 (Phosphorus)

  • 공급원: 골분, 인산염, 인산칼슘, 인광석, 제2인산석회
  • 기능
    • 체내에서 수소이온농도를 저절
    • 산소의 분비를 촉진
    • 세포의 증식에 관여
    • 신경계통을 자극
    • 소장에서 당류의 흡수를 도우며 신장에서 글루코스의 재흡수를 돕는다. 
  • 주의할 점
    • 식물성 인은 흡수율이 낮다. 
    • 무기태의 인을 추가 배합한다. 
    • 칼슘과 인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적정 공급비율을 지켜야 한다.

 

사양표준

<산란용 육성계의 표준체중과 사료섭취량>. NRC 사양표준

주령(주) 수탉체중(g) 사료섭취량(g/주) 암탉체중(g) 사료섭취량(g/주) 산란율(%)
0 40 100 40 75  
2 250 250 225 225  
4 545 350-385 455 315-330  
6 795 390-425 660 330-350  
8 1,020 405-475 840 350-400  
10 1,250 475-550 1,000 385-445  
12 1,460 540-625 1,180 425-480  
14 1,700 575-700 1,360 460-550  
16 1,930 625-765 1,550 495-600  
18 2,150 665-825 1,730 525-670  
20 2,400 - 1,930 570-730  
22 2,640 - 2,110 635-795 10
24 3,200 - 2,450 800-925 15
26 3,540 - 2,730 950-1.050 30
28 3,750 - 2,880 1,078-1,141 56
30 3,900 - 3,000 1,078-1,141 75
32 4,900 - 3,090 1,078-1,141 80
32 4,220 - 3,130 1,078-1,141 80
34 4,220 - 3,130 1,078-1,141 78
36 4,340 - 3,160 1,078-1,141 76
38 4,450 - 3,180 1,078-1,141 73
40 4,540 - 3,180 1,078-1,141 72

 

 

김우영. 양계 경영과 사육 (1992) 오성출판사

 

 

'Poultry > 07 사료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란계 사양관리 프로그램의 원리  (0) 2022.09.21
사료의 전환  (0) 2022.06.17
초산 후의 사료 급여 요령  (0) 2021.10.21
체중과 사료, 산란 관계  (0) 2021.09.23
사료 및 물 섭취량  (0) 2021.03.17